웹메일, 서브 도메인 이용을 위한 DNS 레코드 설정 방법입니다.
웹메일 이용하기
웹메일은 소유한 도메인을 고유 메일 주소로 이용하는 서비스입니다.
예를 들어 sixshop.com 도메인을 연결했다면, OOO@sixshop.com 형식의 이메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정상 연결되어 있는 커스텀 도메인에만 DNS 레코드 설정이 가능합니다.
Step 1. 이용할 웹메일 업체를 선정하여, 웹메일 이용에 필요한 레코드 값을 확인합니다.
지메일(Google Workspace), 하이웍스, 네이버 웍스, 이카운트 이메일 등의 업체가 일반적이며, 입력되어야 하는 레코드 값은 업체에서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Step 2. [설정 > 도메인]에서 도메인 우측 [•••] 선택 후 [설정하기]를 클릭합니다.
Step 3. [DNS 레코드 추가] 버튼 클릭 후, 업체에서 안내 받은 값을 아래 설정 방법에 따라 [저장] 합니다.
모든 값이 정상 입력되었다면, 약 30분 후 웹메일 수신이 가능합니다.
MX
•
Type: [MX] 선택
•
Name: @
•
Value: 우선 순위 + 공백(띄어쓰기) + 값 형태로 입력
MX 레코드 값이 2개 이상이라면 엔터로 줄바꿈하여 한 번에 저장해 주세요.
TXT(SPF)
•
Type: [TXT] 선택
•
Name: @
•
Value: 업체 안내에 따라 입력
A
•
Type: [A] 선택
•
Name: 업체 안내에 따라 입력 (예시: webmail.도메인이라면 webmail만 입력합니다.)
•
Value: 업체 안내에 따라 입력
CNAME
•
Type: [CNAME] 선택
•
Name: 업체 안내에 따라 입력 (예시: mail IN CNAME이라면 mail만 입력합니다.)
•
Value: 업체 안내에 따라 입력
서브 도메인 이용하기
서브 도메인은 메인 도메인 앞에 서비스 성격을 나타내는 요소가 추가된 형식의 도메인입니다.
kr.ooo.com / en.ooo.com의 형식이며, 국내몰/해외몰 등 1개 도메인 기반으로 2개 이상의 사이트를 운영할 때 사용합니다.
식스샵 프로 사이트가 메인일 경우
메인 도메인을 식스샵 프로에 연결하고, 외부 사이트를 서브 도메인 형식으로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서브 도메인 연결 전에 아래 작업이 모두 되어 있는지 점검해 주세요.
•
식스샵 프로에는 메인 도메인이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
서브 도메인으로 연결할 외부 사이트 또한 자체 도메인이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서브 도메인 연결 시 리다이렉팅 처리를 위함)
Step 1. [설정 > 도메인]에서 도메인 우측 [•••] 선택 후 [설정하기]를 클릭합니다.
Step 2. 서브 도메인으로 연결할 외부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CNAME 또는 A 레코드를 추가합니다.
•
Type: [CNAME] 또는 [A] 선택
•
Name: 원하는 서브 도메인 이름 (en/kr 등)
•
Value
◦
[CNAME] 선택 시: 외부 사이트에 기존 연결된 도메인 입력
◦
[A] 선택 시: IP 주소 입력
[입력 예시]
식스샵 프로에 연결한 abc.com 사이트에
test.com 도메인을 사용하는 외부 사이트를
서브 도메인인 en.abc.com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Type: [CNAME]
•
Name: en
•
Value: test.com
외부 사이트가 메인일 경우 준비 중
메인 도메인은 외부에 연결하고, 식스샵 프로를 서브 도메인 형식으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Step 1. 메인 도메인을 연결한 외부 서비스 내에서 CNAME 값을 설정합니다.
각 업체별로 ‘타 사이트를 서브 도메인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상이합니다.
업체별 DNS 레코드 설정 경로 및 방법은 업체 측으로 문의해 주시면 정확히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Step 2. 식스샵 프로의 [설정 > 도메인]에서 서브 도메인 형식으로 도메인을 등록합니다.
Q1. 2개 사이트를 운영하려면 꼭 서브 도메인을 이용해야 하나요?
